2022. 7. 11. 15:21ㆍ상하수도 기술사
1. 대장균군 -> 분변에 의한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, 대장균군을 측정함으로서 소화기계 병원성 미생물 존재 여부 파악 가능(대장균군>분원성 대장균>대장균)
1) 대장균군 -> 가장 많은 수가 검출, 안전도가 높음, 분원성 오염지표로는 신뢰성 낮음
2) 분원성 대장균군 -> 배양 온도 44도씨 (장내 세균 생장 온도), 분원성 오염 신뢰도 높음
3) 대장균 -> 분원성 오염 신뢰도 가장 높음
2. 대장균군 측정 의의 -> 소화기계 병원균은 항상 대장균과 함께 존재(분리·동정이 어려움, 대장균보다 저항력 약함), 대장균군은 소화기계 병원균보다 검출이 용이, 신속 정확도가 높다.
3. 기준 -> 먹는 물(불검출), 방류수(대장균군 3,000개/ml 이하, 상수원보호구역, 청정지역 1,000개/ml 이하)
4. 시험방법 -> MPN법, 막여과 시험법, 평판집락 시험법
5. 생태독성(TU) -> 급격히 증가하는 유해화학물질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독성물질에 민감한 물벼룩을 이용하여 수질 안정성을 평가
1) 생태독성(TU)은 하·폐수 내 독성물질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
2) 물벼룩을 이용한 하·폐수의 급성독성(TU) 평가방법
3) 하·폐수처리장 보급 확대로 유기물 관리에서 미량유해물질(독성) 관리 전환
4) 개정된 방류수 수질기준과 배출허용기준에 TU항목 추가
6. 생태독성(TU) 산정방법 -> TU =100/EC50
7. 생태독성(TU) 적용대상 및 기준 -> 적용대상( 1), 폐수종말처리시설 및 공공하수처리시설, 2) 직접 배출시설(석유화학시설 등 35개 시설), 3) 폐수를 폐수종말처리시설이나 공공하수처리시설로 유입시키는 사업장 제외)
8. 제안사항 -> 산업폐수의 방류수를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일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므로 국제 규격에 부합하는 수질 및 수생태계 등 양질의 수자원 보호와 더불어 효율적으로 산업폐수 방류수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어류, 조류, 박테리아 등을 활용한 통합 독성 개념의 관리제도 도입이 필요
'상하수도 기술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상하수도 기술사] (9일) 부영양화지수(TSI), 녹조현상 (0) | 2022.07.24 |
---|---|
[상하수도 기술사] (8일) 생물학적 오염도(BIP : Biological Index of water pollution), 조류생장잠재능력(AGP : Algal Growth Polential) (0) | 2022.07.13 |
[상하수도 기술사] (6일) 탁도(turbidity) (0) | 2022.07.10 |
[상하수도 기술사] (5일) SUVA254, 경도(Hardness) (0) | 2022.07.08 |
[상하수도 기술사] (4일) 총탄소(TC), 총유기탄소(TOC), 무기탄소(IC), 용존유기탄소(DOC), 부기성유기탄소(SOC), 비정화성유기탄소(NPOC) (0) | 2022.07.06 |